사주/사주일기

[사주 일기] 기사일주가 뭐길래..?

핵심PIK 2023. 3. 3. 01:26
반응형
SMALL

 


우연히 즐겨보던 TV 강연프로그램에서
어떤 강사가 “사주(명리학)는 데이터다.” 라는 말에
호기심과 의아함에 귀를 기울여 본 적이 있다. 그말은 즉슨, 몇 백년전의 과거부터 차곡차곡 쌓아온 데이터란 것이다.

쉽게 풀면
요즘 시대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문인 것이다.

하긴 선조들도 지금과 문명의 차이가 있을 뿐 샤머니즘이니 무당이니 해서 점치는 문화가 있었으니 지금보다 더 했으리라 짐작한다.
 
그즉시 나는 유명 사주 유투버부터 
편협하다고 생각했던 커뮤니티까지 들어가서
사주에 대해 하나부터 열까지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렇게 알게된 나의 팔자는
 
기사일주란다.
 
기사? 나는 흑기사밖에 모르는데..ㅋㅋㅋ
네이버에 기사일주를 쳐보니
나오는 연예인이 있었다.
 
국민첫사랑 수지..이젠 배우의 길을 걷는...

출처: news1 기사 대표 사진 참고


뭐야? 순간 설렜다.
 
나도 성공하나?ㅋㅋㅋㅋㅋ
수지랑 같은 사주면 좋은거아닌가하고ㅋㅋ
 
그건 또 다른 이야기란걸 나중에서야 알게됐지만 
처음에는 동경하던 연예인과 같은 사주라는 것만 해도가슴이 두근두근 댔다.
 
아무튼,
 
사주에서 일주론 월주론 시지론 등등이
많이 있다고는 하나 내가 흔하게 접하게 된건
나를 뜻하는 일간의 일주론이었다.

일주는 빨간색 표시가 되어있는 곳을
사주에선 나를 뜻하는 곳이자 중심이라고 한다

시간 일간(나) 월간 년간
시지 일지 월지 년지

 왼쪽부터 한기둥을

시주(시간,시지),

일주(일간,일지),

월주(월간,월지),

년주(년간,년지)라 부른다.


자신의 사주를 보는 방법은?
“만세력”이라는 무료 어플로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태어난 년,월,일,시를 기입하면
8칸안에 색깔별로 한자와 알 수 없는 의미의 글들이 있을것이다.

(초반에는 가볍게 일주를 확인하고 어떤 색이 있는지 정도만 파악하는게 접근하기는 쉽다. 다만,정확성까지는...ㅎㅎ)

어플 “만세력”으로 본 수지 사주팔자


왼쪽에 2번째칸의 세로로 두글자가
자신의 중심이라고 보면 된다.

각각의 글자가 인데...
각자만의 역할과 쓰임이 또 다르다.
(공부할 게 많다ㅎㅎ)

 

기사일주를 둘러싼 초록색의 갑(나무)과 노란색의 무토(벌판,산)를 깔고 있는 수지의 사주를

보자면 큰 대지와 산들에 나무를 무럭무럭 키우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여자 사주에 정관은 남자이면서 감투를 쓰거나 고정적인 일자리등을 뜻하니

지금까지 차근 차근 이뤄온 것과 앞으로도 이성운과 재물복,일복 많을 것으로 보이고

 

물상론으로 보자면 큰 숲을 이루어

끊임없이 사랑을 받고 또 사랑을 주며 살아갈 것이라 보인다.

 

이처럼 수지와 같이 물상론적으로 풍족한 사주가 있는 반면 

기사일주라 해서 모두 수지와 같은 삶을 사는 것이 아닌 이유가

기사일주 주변의 월주,년주가 사람마다 다다르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기사일주지만

계절로는 춥고 습한 사주라 수지의 사주에 있는 무토가 꼭 필요하다.

그나마 다행히 천간에 병화가 있어 혹한기의 추위는 면했다.

 

이외의 더 자세한 기사일주의 물상론적인 것은

다음 콘텐츠에서 다뤄봤다.

 

▼더 자세한 기사일주 내용▼

 

[사주 일기] 태어나보니 기사일주

지난 시간에 이어 기사일주의 특징 겸 관련 일화도 예시로 풀어보고자 한다 먼저 기사일주 특징부터 알아보자. 따뜻하고 습한 기토(흙)와 뜨겁고 변화무쌍한 사화(불)의 만남이라고 생각하는 게

plus-zero.tistory.com

▼사주에 정인이 있는  당신이 꼭 봐야할 글▼

 

[사주 일기] 정인 있으면 필독!(정인 십성 특징&주의점)

필자는 기사일주로 정인의 십성을 중점으로 가지고 있다 먼저 정인이 천간보다 지지에 있는 경우 더 크게 발현되며 갯수가 3개이상으로 과다하게 많아질 경우 정인보다는 편인의 특징도 같이

plus-zero.tistory.com



*사주일기란?

필자의 사주 지식과 함께 사담을 푸는 일기콘텐츠이다:)

 

반응형
LIST